웹 개발자에서 게임 개발자로 전향한 후기 (언리얼 엔진 5)
5년차 웹 개발자가 게임 개발로 커리어를 전환한 솔직한 이야기. 언리얼 엔진 5로 새로운 길을 찾은 과정입니다.
럿지 AI 팀
5분 읽기
목차
웹 개발 5년, 이제는 게임을 만듭니다
웹 개발자의 번아웃
**저의 커리어:**
- React 3년
- Node.js 5년
- 스타트업 → 중견기업
- 연봉: 6,500만원
**표면적으로는:**
안정적인 커리어
**하지만 속은:**
- 반복되는 CRUD
- 재미없는 업무
- "이게 내가 원하던 개발자 삶인가?"
게임 개발로의 전환 결심
**계기:**
퇴근 후 취미로 게임 개발 유튜브를 보다가, "나도 해보고 싶다"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**고민:**
- 나이: 32세
- 새로 배우기엔 늦지 않았나?
- 연봉이 깎이면 어떡하지?
- 게임 회사 취업이 가능할까?
**결론:**
"안 해보고 후회하는 것보다, 해보고 후회하자"
언리얼 엔진 5 스파르타 클래스 선택 이유
웹 개발자 관점에서의 고민
**처음 생각:**
"나는 이미 개발자니까, 유튜브 보고 독학하면 되겠지?"
**현실:**
- 게임 엔진은 웹과 완전히 다른 세계
- 물리 시뮬레이션, 3D 수학, 렌더링 파이프라인...
- 혼자 배우기엔 너무 방대함
**강의 선택 이유:**
- 체계적인 커리큘럼
- 실전 프로젝트 (오픈월드 게임 완성)
- 언리얼 공인강사의 전문성
- 빠르게 게임 개발 감을 잡고 싶었음
웹 개발자가 느낀 언리얼 엔진
비슷한 점
**1. 로직 구조:**
- 웹: JavaScript 함수
- 언리얼: 블루프린트 노드
**개념은 같습니다.**
변수, 조건문, 반복문 모두 존재합니다.
**2. 이벤트 기반:**
- 웹: onClick, onChange
- 언리얼: BeginPlay, Tick, OnComponentHit
**익숙한 개념**이었습니다.
완전히 다른 점
**1. 3D 공간 개념:**
- 웹: 2D (x, y)
- 게임: 3D (x, y, z) + 회전(pitch, yaw, roll)
**처음엔 헷갈렸지만,** 강의에서 체계적으로 설명해줘서 2주 만에 적응했습니다.
**2. 실시간 렌더링:**
- 웹: 정적 페이지, 간단한 애니메이션
- 게임: 초당 60프레임 렌더링
**퍼포먼스 고민이 다른 차원**이었습니다.
**3. 물리 시뮬레이션:**
- 웹: CSS로 위치 조정
- 게임: 실제 물리 법칙 적용
**새로운 세계**였습니다.
학습 과정: 웹 개발 경험의 장단점
도움이 된 점
**1. 프로그래밍 기초:**
변수, 함수, 클래스 개념을 이미 알고 있어서 블루프린트 이해가 빨랐습니다.
**2. 문제 해결 능력:**
버그를 디버깅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서, 게임에서 문제가 생겨도 당황하지 않았습니다.
**3. 학습 방법:**
개발자로 일하면서 익힌 "효율적인 학습 방법"이 게임 개발 학습에도 적용됐습니다.
새로 배워야 했던 점
**1. 3D 수학:**
- 벡터 연산
- 삼각함수
- 쿼터니언(회전)
**고등학교 수학을 다시 공부했습니다.**
하지만 강의에서 **게임 개발자에게 필요한 수학만** 골라서 가르쳐줘서,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.
**2. 게임 디자인 패턴:**
- 웹: MVC, REST API
- 게임: Component 패턴, State Machine, Object Pooling
**새로운 설계 사고방식**을 배웠습니다.
**3. 아트 감각:**
웹은 디자이너가 만든 UI를 구현하면 됐지만,
게임은 **직접 레벨을 디자인**해야 했습니다.
라이팅, 색감, 분위기 연출... 새로운 도전이었습니다.
프로젝트: 오픈월드 도시 게임 제작
구현한 시스템
**1. AI 시스템:**
- NPC 자동 순찰
- 플레이어 감지 및 반응
- 행동 트리 구현
**웹의 상태 관리 경험이 도움됐습니다.**
**2. 차량 시스템:**
- 현실적인 차량 물리
- 차량 조작
- 차량-환경 상호작용
**완전히 새로운 영역**이었지만, 강의 따라하니 구현됐습니다.
**3. 교통 시스템:**
- AI 차량 자동 주행
- 신호등 시스템
- 교통 흐름 관리
**대규모 시스템 설계 경험**을 쌓았습니다.
개발 기간
**총 2개월:**
- 주중 저녁: 2시간
- 주말: 8시간
**웹 개발 경험이 있어서** 완전 초보보다는 빠르게 진행했습니다.
웹 개발자 시각에서 본 언리얼 엔진 5
인상적이었던 점
**1. 블루프린트 비주얼 스크립팅:**
- 코드 없이 로직 구현
- 시각적으로 흐름 파악 가능
- 디버깅이 직관적
**"이거 진짜 편하다"**
웹에도 이런 게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**2. 에디터의 생산성:**
- 실시간 플레이 테스트
- 즉각적인 피드백
- 에셋 브라우저
**웹보다 개발 속도가 빠른 느낌**
**3. 커뮤니티와 에셋:**
- Marketplace의 무료/유료 에셋
- 활발한 커뮤니티
- 풍부한 학습 자료
**웹 개발 생태계만큼 풍부했습니다.**
커리어 전환 결과
4개월 후
**포트폴리오:**
- 오픈월드 게임 1개
- 멀티플레이어 슈팅 게임 1개 (추가로 만듦)
- GitHub에 프로젝트 공개
**취업:**
중소 게임 회사 게임 개발자로 입사
**연봉:**
- Before: 6,500만원 (웹)
- After: 5,000만원 (게임)
**연봉은 줄었지만, 행복도는 10배 올랐습니다.**
1년 후 (현재)
**직책:**
게임 프로그래머
**담당:**
- 게임플레이 시스템 개발
- AI 로직 구현
- 최적화
**연봉:**
6,000만원 (1년 만에 복구)
**만족도:**
매일 출근이 즐겁습니다.
웹 개발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
1.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
**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다면:**
언리얼 엔진 학습은 생각보다 빠릅니다.
**제 경험:**
2개월이면 기본기를 다질 수 있습니다.
2. 웹 개발 경험은 큰 자산입니다
**게임 개발에도 적용되는 것들:**
- 알고리즘 사고
- 디버깅 능력
- 시스템 설계
- 협업 경험
**모두 도움이 됩니다.**
3. 나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
저는 32세에 시작했습니다.
**현재:**
팀에서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.
**나이보다 중요한 것:**
배우려는 의지와 실행력
4. 연봉 감소는 일시적입니다
**초반:**
경력이 리셋되어 연봉이 줄었습니다.
**1년 후:**
실력이 인정받아 연봉이 다시 올랐습니다.
**장기적으로:**
게임 개발자 시니어 연봉도 높습니다.
강의의 가치
언리얼 엔진 5 스파르타 클래스는 제게 **커리어 전환의 발판**이었습니다.
**가장 좋았던 점:**
- 실전 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 완성
- 오픈월드 게임이라는 임팩트 있는 주제
- AI, 차량, 교통 등 다양한 시스템 경험
**이 강의 하나로:**
게임 회사 면접에서 보여줄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.
이런 분들께 추천
✅ **웹/앱 개발자로 일하고 있지만 게임 개발이 궁금한 분**
✅ **개발 경험이 있어서 빠르게 게임 개발을 배우고 싶은 분**
✅ **커리어 전환을 고민 중인 개발자**
✅ **포트폴리오를 빠르게 만들어야 하는 분**
✅ **오픈월드 게임 시스템에 관심 있는 분**
마무리
**웹 개발 5년 vs 게임 개발 1년**
지금 돌이켜보면, **게임 개발이 훨씬 재미있습니다.**
물론 웹 개발도 의미 있는 일입니다.
하지만 저에게는 **게임 개발이 더 잘 맞았습니다.**
**당신도 고민 중이라면:**
일단 시작해보세요.
언리얼 엔진 5 스파르타 클래스로 시작하면, 2개월 후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**오픈월드 게임**이 추가되어 있을 겁니다.
**커리어 전환, 지금이 적기입니다.**
---
**태그**: #언리얼엔진 #UE5 #커리어전환 #게임개발자 #웹개발자 #개발자전향
L
럿지 AI 팀
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