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대 전직 성공기: 영업사원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(feat. 연봉 상승)

33세, 영업 10년차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전직 성공. 늦은 나이에도 가능했던 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을 공개합니다.

럿지 AI 팀
12분 읽기

30대 전직 성공기: 영업사원에서 백엔드 개발자로



커리어 전환

"33세, 과연 가능할까?"



**2023년 1월, 나의 상황**:
- 나이: 33세
- 경력: 영업 10년
- 연봉: 3,800만원
- 코딩 경험: 0

**결정**:
"그만두고 개발자 해보자"

**주변 반응**:
- 가족: "미쳤니? 나이가 몇인데"
- 친구: "30대 개발자 전직? 불가능"
- 동료: "안정적인 지금 그만두게?"

**2024년 1월, 1년 후**:
- 직업: 백엔드 개발자
- 연봉: 5,200만원 (+1,400만원)
- 만족도: ★★★★★

전직을 결심한 이유



영업의 한계



**10년간의 깨달음**:
``
20대: 열정적으로 일함
→ 실적 1등, 포상 여행

30대 초반: 회의감
→ "평생 이렇게 살아야 하나?"

30대 중반: 결심
→ "지금 아니면 못 바꾼다"
`

**영업의 현실**:
- 매월 실적 압박
- 고객 눈치
- 술자리 강요
- 주말 근무
- 불안한 미래

개발자를 선택한 이유



**1. 실력이 자산**:
- 영업: 인맥, 회사 의존
- 개발: 실력 = 이직 기회

**2. 워라밸**:
- 영업: 야근, 회식, 주말
- 개발: 정시 퇴근 (회사 따라 다르지만)

**3. 연봉 상승 가능성**:
- 영업 10년: 3,800만원
- 개발 3년: 5,000만원 이상 가능

**4. 나이 들어도 가능**:
- 영업: 40대 이후 경쟁력 하락
- 개발: 40~50대도 현역

시행착오: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



고민하는 모습

첫 시도: 코딩 부트캠프 (실패)



**2023년 1월**:
`
부트캠프 등록: 500만원
기간: 6개월 풀타임

문제:
→ 퇴사 필수
→ 6개월 무수입
→ 생활비 압박
→ 실패 시 복귀 어려움

결정: 포기
`

두 번째 시도: 독학 (고난)



**시도한 것들**:
- YouTube 무료 강의
- 도서관 책
- 블로그 글

**2주 후**:
`
"HTML은 알겠는데... JavaScript는 뭐고, 백엔드는 또 뭐야?"

→ 방향을 모르겠음
→ 회사 다니면서 하기 벅참
→ 진도 너무 느림
`

전환점: 체계적인 강의 발견



고민하던 중, 같은 고민을 하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추천받은 강의:

**[[코드캠프]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](https://inf.run/UJY3H)**

**선택 이유**:
- ✅ **직장 다니면서 가능** (퇴사 불필요)
- ✅ 비용 합리적 (10만원대 vs 부트캠프 500만원)
- ✅ 체계적 커리큘럼 (기초→심화→실전)
- ✅ 실무 중심 (Captain 강사, 8년차 풀스택)
- ✅ 평생 소장 (반복 학습)

**결정**:
"이거면 되겠다!"

6개월 전직 플랜



1~2개월: 기초 다지기



**루틴**:
`
평일:
05:30 - 기상
06:00~07:30 - 강의 1.5시간
08:00~18:00 - 회사 (영업)
19:00~22:00 - 강의 + 실습 3시간

주말:
토: 6시간 집중 학습
일: 4시간 학습 + 복습
`

**학습 내용**:
- Week 1~2: JavaScript 기초
- Week 3~4: JavaScript 심화 (ES6+)
- Week 5~6: TypeScript
- Week 7~8: Node.js 기초

**힘들었던 점**:
- 퇴근 후 피곤함
- 주말 포기
- 친구 약속 거절

**버틴 이유**:
> "영업 10년 vs 개발 배우는 6개월, 뭐가 더 나을까?"

3~4개월: 실무 기술 습득



코딩 학습

**학습 내용**:
- NestJS 프레임워크
- TypeORM (데이터베이스)
- JWT 인증
- GraphQL
- Docker 기초

**프로젝트 1: 블로그 시스템** (Week 9~12)
`
기능:
- 회원가입/로그인
- 글 작성/수정/삭제
- 댓글
- 좋아요

코드: 2,000줄
시간: 40시간
`

**프로젝트 2: 이커머스 API** (Week 13~16)
`
기능:
- 상품 관리
- 장바구니
- 주문/결제
- 관리자 페이지

코드: 5,000줄
시간: 60시간
`

**변화**:
`
1개월 전: "이게 뭔 말이야..."
4개월 후: "아, 이렇게 하는 거구나!"
`

5~6개월: 포트폴리오 & 취업 준비



**프로젝트 3: 실시간 채팅** (Week 17~20)
`
기술 스택:
- NestJS
- Socket.io (WebSocket)
- Redis (캐싱)
- MongoDB
- Docker

기능:
- 1:1 채팅
- 그룹 채팅
- 파일 전송
- 읽음 표시
`

**포트폴리오 정리** (Week 21~22):
- GitHub 정리
- README 작성
- 프로젝트 배포
- 기술 블로그 3개 작성

**이력서 작성** (Week 23~24):
- 영업 경력 (소프트 스킬 강조)
- 커뮤니케이션
- 문제 해결
- 프로젝트 관리
- 개발 역량 (포트폴리오 3개)

취업 과정



지원 전략



**타겟팅**:
`
X 대기업, 유명 스타트업
→ 경쟁 치열

O 성장 중인 중소기업
→ 실력 있으면 기회
→ 나이 덜 중요
`

**지원 결과** (2023년 7월):
`
지원: 12곳
서류: 8곳 통과 (66%)
코딩테스트: 5곳 통과
면접: 4곳
최종 합격: 2곳 🎉
`

면접 에피소드



면접 준비

**면접관의 첫 질문**:
> "33세에 개발을 시작하신 이유가 뭔가요?"

**나의 답변**:
`
"영업 10년 하면서 느낀 것은,
제 가치가 회사에 종속된다는 거였습니다.

개발은 다릅니다.
실력이 곧 제 자산이고,
나이 들어도 계속 성장할 수 있습니다.

늦게 시작했지만,
그만큼 더 간절하고 열심히 하겠습니다."
`

**면접관의 반응**:
"포트폴리오 보니 진짜 열심히 하셨네요. 합격입니다."

최종 선택



**A사** (스타트업, 30명):
- 연봉: 4,800만원
- 업무: 백엔드 개발
- 분위기: 자유로움

**B사** (중견기업, 200명):
- 연봉: 5,200만원
- 업무: 백엔드 + DevOps
- 분위기: 체계적

**선택**: B사

**이유**:
- 높은 연봉
- 체계적인 시스템 (신입에게 좋음)
- 성장 기회 (DevOps까지 배울 수 있음)

1년 후 현재



업무 현황



**담당 업무**:
`
- 백엔드 API 개발 (NestJS)
-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최적화
- Docker 컨테이너 관리
- CI/CD 파이프라인 구축
`

**성과**:
- 신규 서비스 2개 런칭
- 기존 API 성능 30% 개선
- 팀 내 NestJS 스터디 리드

**평가**:
> "영업 경험이 커뮤니케이션에서 빛을 발하네요. 신입 같지 않아요." - 팀장님

연봉 비교



| 항목 | 영업 10년차 | 개발 1년차 | 차이 |
|------|-------------|-----------|------|
| 연봉 | 3,800만원 | 5,200만원 | **+1,400만원** |
| 야근 | 주 3~4회 | 거의 없음 | - |
| 회식 | 주 2~3회 | 월 1회 | - |
| 주말 근무 | 월 2~3회 | 없음 | - |
| 스트레스 | 높음 | 중간 | - |
| 만족도 | ★★☆☆☆ | ★★★★★ | - |

삶의 질 변화



**Before (영업)**:
`
07:00 - 기상
08:00 - 출근
09:00 - 고객사 방문
12:00 - 점심 (고객과 함께)
14:00 - 영업 활동
18:00 - 퇴근... 못 함
20:00 - 회식
23:00 - 귀가
`

**After (개발)**:
`
08:00 - 기상 (여유)
09:30 - 출근
10:00 - 스탠드업 미팅
10:30 - 개발
12:00 - 점심 (동료와 편하게)
13:00 - 개발
18:00 - 퇴근
19:00 - 헬스장 or 공부
22:00 - 자유 시간
`

30대 전직을 고민하는 분들께



새로운 시작

Q1: "나이가 많은데 가능할까요?"



**A**: 가능합니다.

**이유**:
- 개발은 실력이 전부
- 30대의 강점: 책임감, 끈기, 커뮤니케이션
- 실제로 30~40대 전직자 많음

**증거**: 저

Q2: "기초가 없는데 할 수 있을까요?"



**A**: 저도 없었습니다.

**Before**:
- HTML도 모름
- 코딩 경험 0
- 컴퓨터공학 전공 X

**After**:
- 6개월 만에 실무 투입
- 1년 만에 중급 개발자
- 계속 성장 중

**비결**: 체계적인 학습

Q3: "퇴사하고 시작해야 하나요?"



**A**: 아닙니다.

**저의 방법**:
`
회사 다니면서:
- 평일: 하루 4.5시간
- 주말: 하루 10시간

6개월 후 퇴사
→ 바로 이직
`

**장점**:
- 수입 유지
- 리스크 감소
- 심리적 안정

Q4: "비용이 많이 들까요?"



**A**: 생각보다 적습니다.

**부트캠프**:
`
비용: 300~500만원
기간: 4~6개월 풀타임
→ 퇴사 필수
→ 생활비 추가

총: 1,000만원 이상
`

**온라인 강의**:
`
비용: 10만원대
기간: 6개월 (직장 병행)
→ 퇴사 불필요
→ 수입 유지

총: 10만원대
`

**제 선택**: [[코드캠프]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](https://inf.run/UJY3H)

성공 요인 분석



1. 명확한 목표



`
목표: 6개월 내 백엔드 개발자로 이직
→ 역산 계획
→ 일일 실행
`

2. 체계적 학습



**X 독학**:
- 방향 모름
- 시간 낭비

**O 강의**:
- 커리큘럼 따라가기
- 효율적

3. 포트폴리오



**중요도**: ★★★★★

**면접관**:
> "경력은 없지만 포트폴리오가 훌륭하네요"

**저의 포트폴리오**:
- 프로젝트 3개
- GitHub 정리
- 기술 블로그
- 배포된 서비스

4. 끈기



**힘든 순간**:
- 이해 안 되는 개념
- 퇴근 후 피로
- 주말 포기
- 주변 반대

**버틴 방법**:
`
"지금 포기하면
10년 후에도 영업하고 있을 것"

→ 이 생각으로 버팀
``

전직 로드맵



Month 1-2: 기초



- JavaScript 기초 & 심화
- TypeScript
- Node.js

Month 3-4: 프레임워크



- NestJS
- TypeORM
- 프로젝트 1~2

Month 5-6: 심화 & 취업 준비



- GraphQL, Docker
- 프로젝트 3
- 포트폴리오 정리
- 이력서 작성
- 지원 시작

Month 7+: 취업 & 적응



- 면접
- 입사
- 실무 적응

지금 시작하세요



도전하는 모습

**30대, 늦지 않았습니다.**

**필요한 것**:
- 컴퓨터 1대
- 하루 4시간
- 6개월
- 의지

**6개월 후**:
- 새로운 직업
- 더 높은 연봉
- 더 나은 워라밸
- 성장하는 미래

**1년 후**:
- 중급 개발자
- 연봉 5,000만원+
- 자산이 된 실력
- 후회 없는 선택

---

**33세에 시작해서 34세에 성공했습니다.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. 지금 시작하세요.**

**추천 강의**: [[코드캠프]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](https://inf.run/UJY3H)

L

럿지 AI 팀

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