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기업 레거시 DB 마이그레이션 성공: 20년 된 시스템 무중단 전환
20년 된 레거시 DB를 현대적 아키텍처로 무중단 마이그레이션하고 연간 30억 비용을 절감한 대기업 사례입니다.
럿지 AI 팀
4분 읽기
목차
20년 된 시스템의 한계
R사 배경
**업종:** 제조업 대기업
**규모:** 직원 5,000명, 연 매출 5조
**시스템:** 2004년 구축 ERP (20년 경과)
레거시의 문제
1. 느린 성능
**재고 조회:**
15초 (공장 가동 지연)
**주문 처리:**
30초 (고객 불만)
**월말 결산:**
**3일** (야근 필수)
2. 높은 비용
**Oracle 라이선스:**
연 15억원
**유지보수:**
연 10억원
**하드웨어:**
연 5억원
**총:**
연 **30억원**
3. 확장 불가
**신규 기능:**
추가 어려움 (스파게티 코드)
**글로벌 확장:**
불가능 (단일 DB)
마이그레이션 결정
**이사회:**
"20년 된 시스템을 바꾸자"
**우려:**
- "무중단 전환이 가능한가?"
- "데이터 손실은?"
- "비용은 얼마나?"
**결정:**
진행 (리스크 < 이익)
전략 수립
컨설팅 및 교육
**외부 전문가:**
DB 마이그레이션 컨설턴트
**내부 교육:**
개발팀 전체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수강
**목적:**
- 현대적 DB 설계 이해
- 마이그레이션 전략 공유
- 신규 시스템 구조 설계
목표 아키텍처
**Before (Oracle):**
- 단일 DB
- 정규화 미흡
- 인덱스 과다
**After (MySQL 8.0):**
-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
- 도메인별 DB 분리
- 3NF 정규화
- 최적화된 인덱스
- 파티셔닝 적용
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
Phase 1: 분석 (2개월)
**작업:**
- 레거시 DB 역공학
- ERD 재작성
- 데이터 의존성 분석
**발견:**
- 테이블 500개
- 관계 2,000개
- 데이터 10TB
Phase 2: 설계 (3개월)
**신규 DB 설계:**
- 도메인 분리 (주문, 재고, 회계)
- 3단계 설계 프로세스 적용
- 정규화 (3NF)
- 파티셔닝 전략 (이력 데이터)
**강의 활용:**
강의의 쇼핑몰 프로젝트 패턴을 제조업에 적용
**예시:**
- 회원 → 거래처
- 상품 → 원자재/제품
- 주문 → 발주/수주
Phase 3: 구현 (6개월)
**방식:**
단계적 마이그레이션 (Strangler Fig Pattern)
**Step 1: 주문 시스템**
- 신규 DB 구축
- 이중 쓰기 (레거시 + 신규)
- 검증 후 전환
**Step 2: 재고 시스템**
- 동일 방식
**Step 3: 회계 시스템**
- 동일 방식
Phase 4: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(3개월)
**이력 데이터:**
- 10년간 데이터: 신규 DB로
- 10년 이전: 아카이빙
**도구:**
- AWS DMS (Database Migration Service)
- 실시간 복제
- 검증 자동화
Phase 5: 전환 (1개월)
**무중단 전환:**
1. 야간 시간대 선택
2. 이중 쓰기로 데이터 동기화
3. 읽기를 신규 DB로 전환
4. 검증
5. 레거시 종료
**결과:**
서비스 중단 **0분**
마이그레이션 결과
성능 개선
**재고 조회:**
- Before: 15초
- After: **0.5초** (30배!)
**주문 처리:**
- Before: 30초
- After: **1초** (30배!)
**월말 결산:**
- Before: 3일
- After: **2시간** (36배!)
비용 절감
**라이선스:**
- Oracle: 연 15억
- MySQL: **0원** (오픈소스)
**유지보수:**
- Before: 연 10억
- After: 연 3억 (클라우드 자동화)
**하드웨어:**
- 온프레미스: 연 5억
- AWS: 연 2억
**총 절감:**
연 **25억원**
비즈니스 효과
**공장 가동률:**
- 재고 조회 빨라져서 +5%
**고객 만족도:**
- 주문 처리 빨라져서 +30%
**글로벌 확장:**
- 중국, 베트남 법인도 동일 시스템 사용 가능
성공 요인
1. 체계적 설계
**김영한 강의:**
- 3단계 설계 프로세스
- 정규화 원칙
- 현대적 패턴
**적용:**
- 레거시 문제점 명확히 파악
- 신규 시스템 체계적 설계
2. 단계적 전환
**일시 전환 ✗ (리스크 큼)**
**단계적 전환 ✓ (안전)**
3. 검증
**각 단계:**
- 기능 테스트
- 성능 테스트
- 데이터 무결성 검증
4. 팀 교육
**전체 개발팀:**
- 신기술 학습
- 공통 이해
- 일관된 품질
프로젝트 팀장 인터뷰
**Q: 가장 어려웠던 점은?**
20년 동안 쌓인 스파게티 코드를 이해하는 거였어요. 원래 개발자들도 퇴사해서...
**Q: 무중단 전환 비결은?**
이중 쓰기 전략이요. 레거시와 신규에 동시에 쓰고, 검증 후 읽기만 전환했죠.
**Q: 강의가 도움이 됐나요?**
네, 특히 정규화와 ERD 작성 부분이요. 레거시를 분석할 때 "아, 이게 정규화가 안 돼서 이렇구나"를 알게 됐어요.
CTO 인터뷰
**Q: 왜 MySQL을 선택했나요?**
Oracle 라이선스가 너무 비쌌어요. MySQL 8.0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했죠.
**Q: 투자 대비 효과는?**
총 투자 50억, 연 절감 25억이니 2년이면 회수예요. 그리고 성능은 30배 향상됐죠.
1년 후
**안정성:**
- 장애 0건
- 데이터 손실 0건
**신규 기능:**
- 레거시: 연 2개
- 신규: 연 **12개** (6배!)
**글로벌 확장:**
- 중국 법인 오픈 (신규 시스템 덕분)
- 베트남 법인 준비 중
ROI
**투자:**
- 컨설팅: 10억
- 개발: 15개월 (약 30억)
- 교육: 1억
**총 투자:**
41억원
**효과:**
- 연 비용 절감: 25억
- 회수 기간: **2년**
- 이후 순이익: 연 25억
**장기 효과:**
- 10년 누적: 250억 절감
- 성능 향상: 측정 불가
- 글로벌 확장: 무한대
핵심 교훈
1. 레거시 방치 비용
**매년:**
30억 낭비 + 기회 비용
2. 체계적 접근
**무계획 전환:**
실패 확률 높음
**체계적 설계 + 단계적 전환:**
성공
3. 교육 투자
**팀 전체 역량:**
프로젝트 성공의 핵심
결론
**레거시 시스템:**
반드시 개선해야 할 때가 온다
**마이그레이션:**
체계적 설계 + 단계적 전환
**학습:**
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
**결과:**
무중단 전환 성공, 연 25억 절감
---
**태그**: #레거시마이그레이션 #DB현대화 #대기업 #무중단전환 #비용절감
L
럿지 AI 팀
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.